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해설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해석 해설입니다. 고은의 네 번쩨 시집 문의(文義)마을에 가서(1974)의 표제시다. 이 시는 시인이 50-60년대 초기시의 허무주의에서 벗어나 작가가 사회적, 역사적 책무를 절감하고 민중적 각성의 시인으로 변신한 중기시의 서두를 장식한 것이다.
이 시는 모친상을 당한 신동문 시인의 고향인 충북 청원군 문의마을에 가서 장례식을 주관했던 사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주제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제재 : 장례 의식
▶ 주제 : 죽음과 삶의 상거(相距)와 합일(合一)
(죽음을 통하여 깨달은 삶의 경건성)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줄거리 요약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줄거리 요약 입니다.
겨울 문의에 가서 보았다.
거기까지 닿은 길이
몇 갈래의 길과
가까스로 만나는 것을.
㉠죽음은 ㉡죽음만큼 길이 적막하기를 바란다.
마른 소리로 한 번씩 귀를 닫고
길들은 저마다 추운 쪽으로 뻗는구나.
그러나 삶은 길에서 돌아가
잠든 마을에 재를 날리고
문득 팔짱 끼어서
먼 산이 너무 가깝구나.
눈이여 죽음을 덮고 또 무엇을 덮겠는가.
겨울 문의에 가서 보았다.
죽음이 삶을 껴안은 채
한 죽음을 받는 것을
끝까지 사절하다가
죽음은 인기척을 듣고
저만큼 가서 뒤를 돌아다본다.
모든 것은 낮아서
이 세상에 눈이 내리고
㉢아무리 돌을 던져도 죽음에 맞지 않는다.
겨울 문의여 눈이 죽음을 덮고 또 무엇을 덮겠느냐.
(시집 문의 마을에 가서, 1974)
* 문의 마을 : 충북 청원군 대청 호반(湖畔)의 마을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배경 특징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배경 특징 입니다.
▶ 성격 : 명상적, 주지적, 관념적, 철학적
▶ 어조 : 담담하게 절제된 어조
▶ 구성 : ① 죽음과 삶의 길이 어떻게 다른가(1연)
② 죽음과 삶의 길이 하나임(2연)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분석
문의 마을에 가서 고은 분석 및 핵심 정리 입니다.
<연구 문제>
1. ‘죽음’과 ‘삶’이 상거(相距)와 합일(合一)의 모순적 관계에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시행을 찾아 쓰라.
저만큼 가서 뒤를 돌아다본다.
2. 제1연 5행의 상대되는 시어를 제2연에서 찾아 쓰라.
인기척
3. 제1연의 5행에서 반복되는 두 개의 ‘죽음’, 곧 ㉠과 ㉡이 갖는 의미를 구별하여 150자 정도로 설명하라.
㉠은 이 시 전체의 문면에 나타나는 행동 주체로서의 죽음이다. 시적 화자에 능동적으로 다가왔다 사라지는 죽음으로 시적 화자의 자의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소진되면서 아버지는 돌아가셨다.
㉡은 시적 화자의 정서에 의해 착색된 죽음이다. 적막한 죽음, 이것은 시적 화자가 느끼는 죽음이다.
4. ㉢의 의미를 20자 이내로 쓰라.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감상의 길잡이>
전기적 시실이야 어떻든 문면(文面)에 드러난 바로는 ‘문의 마을’은 이 시에서 죽음과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 시적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두 개의 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의 첫 연에서 죽음은 길이 ‘적막’하기를 바라고, 삶은 길에서 돌아가 잠든 마을에 재를 날리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어, 죽음과 삶의 길이 어떻게 다른 것인가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둘째 연에 가면 죽음이 삶을 껴안은 채 한 죽음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또한 죽임이 ‘인기척’을 듣고 저만큼 가다가 뒤를 돌아보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어, 죽음과 삶의 길이 궁극적으로는 하나로 만날 수밖에 없다는 깨달음에 이르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첫 연과 둘째 연이 서로 대립적이면서도 상응하는 구조인 바, ‘겨울 문의에 가서 보았다./ 거기까지 닿은 길이/ 몇 갈래의 길과/ 가까스로 만나는 것을’이라는 구절은 ‘겨울 문의에 가서 보았다./ 죽음이 삶을 껴안은 채/ 한 죽음을 받는 것을’이라는 구절과 대응하는 것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제2연 6행의 ‘저만큼 가서 뒤를 돌아다본다’는 구절에서는 기묘하게도 죽음과 삶의 상거(相距)와 합일(合一)을 함께 읽을 수 있다. 죽음과 삶의 길은 서로 모순된 것이면서도 하나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인의 생각일 터이다.
그러므로 살아 있는 자가 아무리 돌을 던져 죽음을 쫓고자 하여도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숙명임을 깨닫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