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전
매화전 해설
매화전의 해설입니다. 작가, 연대 미상의 한글 필사본 소설인 이 작품은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애정 소설로 매화양 유전, 유화양매록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작품에는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애정 모티브와 계모로 인한 시련과 고난, 부모로부터 버림받고 기아, 도술을 통한 문제해결 등 고전소설의 다양한 모티브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하여 조선후기 작품으로 추측되며 판소리사설의 문체를 가지고 있어 판소리계 소설 혹은 판소리계 소설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매화전 주제
매화전 주제는 온갖 시련을 이겨낸 양유와 매실의 사랑입니다.
매화전 줄거리 요약
매화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경기도 창당에 김주부라는 선비가 살고 있었습니다. 김 주부는 도술이 뛰어났지만 무남독녀의 매화를 두고 있었습니다. 조정의 간신들이 금주부를 해치우려 하자 그는 매화를 남장시켜 길에 버리고 김주부 부부는 구월산으로 피신합니다. 매화는 조병사의 집에서 그의 아들 양유와 함께 공부하며 자랍니다. 양유는 매화에게 연정을 느끼고 매화는 양유에게 자신이 여자라는 사실을 털어놓습니다.
두 사람은 부모의 승낙을 받고 나서 혼약하기로 하죠. 반면 상객관상사가 양유가 재상의 관상이나 호식이 되므로 매화와 혼인시켜야 한다는 글을 남기고 사라집니다.양유의 계모는 매화를 자신의 동생과 혼인시키려는 모략을 세웁니다. 계모가 사람을 매수하여 매부의 아버지를 비방하는 소문을 내자 조병사는 매실을 쫓아냅니다. 계모가 시킨 사람에 의해 납치될 위기에 처한 매화는 강물에 몸을 던지고 아버지 김주부의 도술로 구출됩니다.
양유는 다른 사람과 결혼하기로 한 전날 호랑이에게 물려 구월산에 가서 혼례를 하게 되었는데 신부가 매화였습니다. 김주부는 도사로 바뀌어 조병지를 구월산으로 불러 아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들은 그곳에서 임진왜란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 후 김 주부는 신선이 되었고 나머지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매화전 특징
매화전의 특징은 매화전는 내용에 다양한 서사구조가 섞여 있습니다. 먼저 매화가 어린 시절 길에서 버려졌다는 점에서 기아 버려지는 아이의 모티브가 있습니다. 또한 매실과 양유 사이의 신분 격차로 인한 혼례 장애 모티브, 양유 계모에 의한 시련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 때문에 가정소설이라고 보곤 합니다.
또한 내용 전개에도 기술적 요소가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세타령·몸치장·방치레·술산치레·자탕가 등 판소리 사설의 문체를 함께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화타령과 통하는 판소리계 소설로 보기도 하고, 일반 소설로서 판소리계 소설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보기도 합니다. 임진왜란이 내용 속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 작품이 분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매화전 분석
매화전 분석에서 매화전은 남녀 주인공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재회 등의 애정이야기가 영웅소설의 구조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남녀의 사랑 이야기라는 측면에서 이 작품은 주인공이 당대의 인식과는 달리 자유롭게 사랑을 약속하지만 문벌, 신분, 제도 등의 이유로 혼례 장애가 생기고, 이러한 과정에서 만나 이별의 재회를 겪게 되는 구조를 보여줍니다. 또한 이 작품은 주인공의 새로운 출생과 기아입니다. 결연, 영웅적 고난과 성취 등의 이야기가 더해져 당대 사람들의 인식을 반영하기도 하고 당대 독자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기도 합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선감의록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
백학선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유충렬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옥단춘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광문자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