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때 김광규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때 김광규
때 김광규 해석 해설
때 김광규 해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시간과 계절의 변화와 그 의미를 깨달아 그에 맞는 삶의 자세의 필요성을 노래한 시이다. 이 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3행까지는 시간의 흐름을 절감하게 되는 시기를 말하는 부분이고, 14행부터는 비로소 다가온 시기에 대한 깨달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때 김광규 주제
때 김광규 주제 입니다.
◆ 주제 : 자연에 순응하는 삶과 성찰
[시상의 흐름(짜임)]
◆ 1~5행 : 한여름의 장마와 땡볕과 태풍
◆ 6~8행 : 숲 색깔의 변화와 대추나무 잎의 변화
◆ 9~11행 : 날짜로 가을이 왔음을 앎.
◆ 12~13행 : 곤충 소리로 가을이 왔음을 앎.
◆ 14~17행 : 가을은 놀 때가 아니고 거두어 들일 때임.
때 김광규 내용 요약
때 김광규 내용 요약 입니다.
남녘 들판에 곡식이 뜨겁게 익고
장대 같은 빗줄기 오랫동안 쏟아진 다음
남지나해의 회오리바람 세차게 불어와
여름내 흘린 땀과 곳곳에 쌓인 먼지
말끔히 씻어갈 때
앞산의 검푸는 숲이 짙은 숨결 뿜어내고
대추나무 우듬지에 한두 개
누르스름한 이파리 생겨날 때
광복절이 어느새 지나가고
며칠 안 남은 여름방학을
아이들이 아쉬워할 때
한낮의 여치 노래 소리보다
저녁의 귀뚜라미 울음소리 더욱 커질 때
가을은 이미 곁에 와 있다
여름이라고 생각지 말자
아직도 늦여름이라고 고집하지 말자
이제는 무엇인가 거두어들일 때.
때 김광규 배경 특징
때 김광규 배경 특징 입니다.
◆ 성격 : 성찰적, 사실적, 자연순응적
◆ 특성
① 활유법을 구사하여 대상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② 불완전한 문장으로 시상을 마무리하여 시적 여운을 줌.
③ '~때'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시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
④ '~말자'와 같은 종결형을 사용하여 화자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드러냄.
⑤ 동일한 시어의 반복으로 인한 율격의 형성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여름내 흘린 땀 → 결실을 얻기 위한 노력
* 누르스름한 이파리, 저녁의 귀뚜라미 울음소리 → 자연적 소재로 계절적 배경을 드러냄.
* 광복절, 며칠 안 남은 여름방학 → 일상적 소재로 시적 구체성을 획득함.
* 늦여름이라고 고집하지 말자 → 스스로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노래함.
* 남지나해 → '지나'는 중국을 뜻함. 남지나해는 남중국해로 필리핀과 인도차이나 반도가 있는 바다임.
* 우듬지 → 나무의 꼭대기 줄기
때 김광규 분석
때 김광규 분석 입니다.
화자는 여름내 흘린 땀의 흔적을 시원한 바람이 씻어가고 나뭇가지에 한두 개의 잎사귀가 빛바랠 즈음이 되면, 그때는 치열하게 삶에 부대낄 때가 아니라 한 해의 결실을 준비할 시점임을, 잔잔하고도 사색적인 어조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지혜가 있어 여름 속에서 가을이 시작되는 기미를 포착하여 '거두어들일' 준비를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가을을 확실히 느낄 때에나 '거두어들일 때'임을 생각한다. 설혹 느낀다 하여도 '며칠 안 남은 여름방학을 / 아이들이 아쉬워' 하듯이 '아직도 늦여름이라 고집하'고 놀리려 한다. 이러한 청자들에게 화자는 '가을은 이미 곁에 와 있다 / 여름이라고 생각지 말자'고 권유하며 놀기보다는 '무엇인가 거두어들일' 때임을 알라고 당부하고 있다.
김광규는 일상적 언어와 자연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며 성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시에서도 시인은 인생의 흐름을 계절의 변화에 대응시키고 이를 통해 성찰의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