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등악양루 두보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등악양루 두보
등악양루 두보 해석 해설
등악양루 두보 해석 해설입니다.
[ 이해와 감상 ]
지은이가 유랑 중에 있던 57세 때, 악양루에 올라 말로만 듣던 동정호수를 바라보고 그 감회를 지은 시로, '등악양루'는 두보가 57세(768년) 때 지은 오언 율시이다. 동정호를 소문으로만 들어왔는데 오늘에야 비로소 악양루에 올라 보니 그 광대, 장려한 모습이 압도적이다. 그러나 이를 마주한 자신은 외로이 떠도는 방랑객이고 더욱이 전쟁까지 벌어지고 있어 근심으로 하염없이 눈물이 흐른다. 자연과 인간, 기쁨과 슬픔의 대비가 선명히 이루어져 있다. 특히 3~4행(함련)은 천고의 절창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고독과 절망에 빠져 있던 당시 두보의 심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이 시는 자연과 인간, 기쁨과 슬픔을 선명하게 대비시켜 선경후정의 효과를 잘 살린 작품이며, 향수의 정과 우국지심을 잘 표현하고 있다.
등악양루 두보 내용 요약
등악양루 두보 내용 요약 입니다.
등악양루(登岳陽樓) -두보-
昔聞洞庭水(석문동정수)
今上岳陽樓(금상악양루)
吳楚東南拍(오초동남박)
乾坤日夜浮(건곤일야부)
親朋無一字(친붕무일자)
老去有孤舟(노거유고주)
戎馬關山北(융마관산북)
憑軒涕泗流(빙헌체사류)
옛날 동정호에 대한 말을 들었더니,
오늘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남쪽으로 갈라졌고,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호수에) 떠 있도다.
친한 벗이 한 글자도 편지가 없으니,
늙어 가며 외로운 배만 있도다.
군마(軍馬)는 고향 관산의 북쪽에 있으니,
(악양루의) 난간에 기대어 눈물을 흘리노라.
등악양루 두보 특징 주제
등악양루 두보 배경 특징 입니다.
◆형식 및 갈래 : 한시(5언 율시)
◆특성
* 선경후정의 구성 방식(1~4행 : 동정호에 비치는 하늘과 땅, 5~8행 : 안타까움과 슬픔의 정서)
* 외로운 배 → 화자의 외로운 감정을 이입시킨 소재
* 악양루에 올라 동정호를 보고 감탄하면서도 고향에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친구의 소식조차 알 수 없어 안타깝고 슬퍼함.
◆구성
* 수련 : 말로만 듣던 동정호를 볼 수 있는 악양루에 오름.
* 함련 : 광활하고 맑은 동정호의 모습
* 경련 : 친구의 소식을 알 수가 없어 외로움.
* 미련 : 고향에 일어난 전쟁을 슬퍼함.
◆주제 : 악양루에 올라 동정호를 보고 느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전란에 대한 안타까움
◆문학사적 의의 : 전란으로 인해 강남으로 떠나 간 두보가 이름만 들었던 악양루에 올라 동정호를 둘러보다 자신의 처지와 고향의 상황을 떠올리며 오히려 안타까움과 슬픔을 느껴 지은 오언 율시
등악양루 두보 분석
등악양루 두보 분석 입니다.
빼어난 풍경을 자랑하는 자연을 배경으로 하여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는 나그네의 처지가 가슴 아프게 전달되는 이 작품은, 자연과 인간, 기쁨과 슬픔의 대비를 선명하게 보이고 있다. 특히, 미련은 화자의 우국지정이 잘 나타난 부분으로, 오랜 전란 중에 갖은 고초를 다 겪은 화자가 관산의 북쪽에는 아직도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고 마침내 눈물을 흘리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때, 화자가 흘린 눈물은 단순한 신세 한탄이라기보다 도탄에 빠진 백성과 비운을 맞은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동정 → 악양루에 오르면 보이는 호수
* 악양루 → 중국의 3대 누각으로 동정호 근처에 있음.
* 융마 → 군마, 당시 당나라는 북쪽의 토번 세력의 침입으로서북 국경지대가 편안하지 못했음.
* 체사 → 울어서 흐르는 눈물이나 콧물 따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