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해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해설입니다. 다소 색다른 느낌을 주는 이 시의 제목은 봉투의 발신인 주소를 연상시킵니다. 이 시적 화자는 남신의주 유동에 있는 박시봉이라는 집에 살면서 자신의 근황과 심정을 마치 편지를 쓰는 것처럼 써내려가고 있는 것입니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주제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주제 입니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의 주제는 가는 자유시입니다. 서정시입니다.
율의는 내재율입니다.
성격은 서사적, 독백적, 자기반성적입니다.
표현은 편지를 써 내려가는 것과 같은 구성입니다. 행과 인연이 뚜렷한 구분이 없습니다.
구성은요.
열여덟 줄 서운했어요.
915행 지난 인생에 대한 회한입니다.
1619행 운명에 대한 포기입니다.
20끝내 새로운 인생의 맹세를 하겠습니다.
제재는 일제의 무력한 지식인입니다. 자신의 근황을 잃습니다.
주제는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무력한 자화상입니다.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입니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감상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핵심 정리 입니다. 저자는 시라이시, 1912 시인입니다. 서사적 구조 속에 한국적 정서를 담은 시를 주로 썼으며, 사투리 차용, 민속적 소재 차용 등을 통해 공동체의 회복을 염원하는 독특한 개성을 보였습니다. 며느리로 사슴이 있습니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특징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특징 입니다.
시의 문맥으로 볼 때, 박시봉이라는 인물은 목수 일을 하는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시적 화자는 가족과 떨어져 홀로 객지에 나와 박시봉이라는 목수네 집에 세들어 지내면서 자신의 지나 온 삶을 되새기고 있다. 시적 화자는 슬픔과 어리석음으로 얼룩진 자신의 지난 삶을 회상하면서, 비애와 영탄에 빠져 들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살아 오게 된 것이 자신의 의지를 넘어서는 운명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삶에 대한 운명론적, 수동적 세계관에 갇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적 화자는 그러한 가운데서도 ‘굳고 정한 갈매나무’처럼 굳세고 깨끗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하고 있다. 수동적, 운명론적 세계관에 갇혀 있으면서도 맑고 꼿꼿하게 살아가겠다는 시적 화자의 삶의 태도에서 한국인의 마음 속에 깊이 자리한 인생관의 단면을 보게 된다. 또 한편으로 이러한 시상의 전개 과정을 통해 일제 말의 암흑기에 자신의 무기력함을 반성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내면에 깊이 침잠하는 ‘나’라는 시적 화자의 정서와 사상이 직시되고 있는 시이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중국 등지를 떠돌아 다니며 쓴 백석 시 말기의 대표작이다. 고향 상실과 방랑 생활의 숙명을 운명론적 세계관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고향을 떠난 한 지식인이, 반겨 주고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앞에서 무기력한 삶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굳고 정한 갈매나무’를 생각하며 무릎을 꿇어 보며 자신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 이것은 그 당시의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 주는 것으로 현실에 무기력한 자신을 반성하는 모습을 확인하게 된다. 총 32행의 시로 사변적(思辨的)인 느낌이 들지만, 쉼표를 많이 사용하여 상황이나 사유를 분석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분석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분석 입니다.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 밖에 나가지두 않구 자리에 누워서,
머리에 손깍지베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천장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 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른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 보며,
어느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워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삿 - 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
딜옹배기 - 둥글넙적하고 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질그릇, 질옹배기
북덕불 - 짚이나 풀 따위를 태워 담은 화톳불
한 방에 들어선 쥔을 붙이었다. : 어느 목수네 허름한 방 하나를 세내어 기거하게 되었다는 뜻
나는 내 슬픔이며 -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 자신의 무능하고 나약한 삶에서 오는 슬픔과 어리석음을 소처럼 곱씹어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1-8행 : ‘아내도 없고’, ‘집도 없어지고’를 통해 가족과 고향을 상실하고 떠돌아 다니는 쓸쓸한 삶을 드러내고 있다.
9-15행 :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에서 자신이 살아 온 삶에 대한 비애와 탄식을 보이고 있고, ‘쌔김질’은 화자가 그 감정에 빠져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16-19행 : ‘나는 내 슬픔과 -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에서 모진 운명에 대한 체념이 잘 나타나 있다.
20-끝 : 혹독한 운명임에도 불구하고 굳고 강하게 살겠다는 다짐을 보이고 있다. ‘굳고 정한 갈매나무’처럼 굳세고 깨끗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다짐이 한국인의 아름다운 서정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