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비와 광장 김규동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6.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나비와 광장 김규동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나비와 광장 김규동

나비와 광장 김규동

 

 

나비와 광장 김규동 해설

나비와 광장 김규동 해석 해설입니다. 모더니스트로 출발한 김규동은 초기에는 주지주의 혹은 쉬르리얼리즘적인 색채를 보였으나, 70년대 이후부터는 사회 내지 역사 의식을 토대로 하는 사회성 짙은 리얼리즘의 민중시로 나아가는 시 세계를 보이고 있다. 이 시는 그의 초기시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계열로 전쟁으로 인해 피폐된 인간성 회복에 대한 소망을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나비와 광장 김규동 주제

나비와 광장 김규동 주제 뜻 정리 입니다. 

주제는 없습니다. 

 

나비와 광장 김규동 줄거리

나비와 광장 김규동 줄거리 입니다. 

나비와 광장(廣場)
- 김규동

현기증 나는 활주로의
최후의 절정에서 흰나비는
돌진의 방향을 잊어버리고
피 묻은 육체의 파편들을 굽어본다.

기계처럼 작열한 작은 심장을 축일
한 모금 샘물도 없는 허망한 광장에서
어린 나비의 안막을 차단하는 건
투명한 광선의 바다뿐이었기에 ―

진공의 해안에서처럼 과묵(寡黙)한 묘지 사이사이
숨가쁜 Z기의 백선과 이동하는 계절 속
불길처럼 일어나는 인광(燐光)의 조수에 밀려
이제 흰나비는 말없이 이즈러진 날개를 파닥거린다.

하얀 미래의 어느 지점에
아름다운 영토는 기다리고 있는 것인가.
푸르른 활주로의 어느 지표에
화려한 희망은 피고 있는 것일까.

신도 기적도 이미
승천하여 버린 지 오랜 유역 ―
그 어느 마지막 종점을 향하여 흰나비는
또 한 번 스스로의 신화와 더불어 대결하여 본다.

 

나비와 광장 김규동 배경 특징

나비와 광장 김규동 배경 특징 입니다. 

이 시에서 ‘흰나비’는 단순한 묘사의 대상이 아니라, 시적 화자를 대신하는 감정 이입된 존재로서 시적 상황에 대한 일정한 인식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활주로’․‘제트기’․‘피 묻은 육체’․‘묘지’ 등의 시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이 시에서 제기된 것은 피비릿내 나는 전쟁 상황이다. 그와 함께, ‘돌진하려는 흰나비’․‘차단하는 투명한 광선의 바다’․‘불길처럼 일어나는 인광’ 등의 날카로운 이미지는 죽음과 직면한 화자의 절박한 한계 상황를 암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방향을 잊어버리고 / 피 묻은 육체의 파편들을 굽어보’다가, 결국은 ‘불길처럼 일어나는 인광의 조수에 밀려 / 말없이 이즈러진 날개를 파닥거리’는 ‘흰나비’는 전쟁이라는 비극적 상황에 대항하여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이다. 

 

나비와 광장 김규동 분석

나비와 광장 김규동 분석 입니다. 

그에게 ‘화려한 희망’을 갖게 하는 ‘아름다운 영토’는 인간성이 복원된 세계이지만, 현실은 ‘신도 기적도 이미 / 승천하여 버린 지 오랜’ 전쟁터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푸르른 활주로의 어느 지표’에서만 피어난다는 모순된 ‘희망’을 찾아 ‘또 한번 스스로의 신화와 더불어 대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 준다. 이렇게 이 시는 6․25의 비극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을 파괴하는 전쟁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감각적 표현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데, 이는 바로 전후(戰後) 시의 한 경향이었던 모더니즘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