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소월 산유화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김소월 산유화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김소월 산유화

김소월 산유화

 

 

김소월 산유화 해설

김소월 산유화 해설입니다. 이 시는 꽃이 피고 지는 평범한 자연현상을 통해 모든 생명체가 가진 근원적인 고독감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시 제목 '산유화'는 산에서 피고 지는 모든 꽃을 뜻하는데, 이 시에서는 홀로 외롭게 피는 비극적인 존재로 형상화되어 있습니다.

 

김소월 산유화 주제

김소월 산유화 주제 입니다. 김소월 산유화 의 주제는 존재의 근원적 고독입니다.

 

김소월 산유화 감상

김소월 산유화 핵심 정리 입니다. 이 시는 '꽃의 탄생 1연 외로운 존재로서의 모습 23연화의 소멸 4연'으로 시상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꽃이 피고 지는 자연현상은 꽃 자체에 국한된 것이라기보다는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의 모습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존재의 근원적인 고독감을 '나만큼 혼자 피었네요'라고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낮음'이라는 시어는 심리적 거리감을 드러내 화자의 고독 정서를 환기시키고, 화자와 꽃 사이의 거리인 동시에 혼자 핀 꽃과 다른 꽃 사이의 거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시적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작은 새'는 '꽃'을 좋아해 산에서 살고 있는데, 그 '꽃'이 '그만큼 피어 있는 외로운 존재'이기 때문에 '새'도 외로운 존재로 그려집니다. 여기서 새는 화자의 분신이며 본질적으로 고독할 수밖에 없는 존재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새들이 산에서 사는 것을 스스로 선택했다는 것은 인간 존재로서 갖는 고독감이 운명적인 것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처럼 이 시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모두 고독해지고 고독하게 살아 고독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그러면서도 탄생과 소멸의 과정을 통해 흐름이 끊기지 않고 영원히 이어진다는 일반적인 진리를 절제된 시어의 구사와 3음보 민요조의 가락을 통해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김소월 산유화 특징

김소월 산유화 특징 입니다. 

  ① 3음보의 전통 율격을 변형하여 운율을 형성함.
 ② 종결어미 ‘네’를 통해 운율감을 살리고각운, 감정의 절제를 보여줌.
 ③ 1연과 4연이 유사한 통사 구조로 반복되며수미상관 구조, 내용면에서 서로 대응됨.

 

김소월 산유화 분석

김소월 산유화 분석 입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민요적, 전통적, 관조적
 운율: 내재율
 제재: 산에 핀 꽃
운율
 1연: 2음보  1음보  2음보  1음보
 2연: 1음보  1음보  1음보  3음보
 3연: 3음보  1음보  1음보  1음보
 4연: 2음보  1음보  2음보  1음보 
  ⇒ 12연과 34연이 율격적으로 대칭을 이룸
 구성
 1연: 존재의 생성
 2연: 존재의 고독한 모습
 3연: 모든 존재의 근원적 고독
 4연: 존재의 소멸
○ 시구 풀이
 산에는 꽃 피네: 여기서 ‘꽃’은 단순히 식물의 한 종류가 아니라,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을 상징한다. 따라서 ‘산’은 만물의 존재 공간, 즉 세계나 우주가 되는 것이므로, 이 시에서 ‘피고 지는 꽃’은 ‘우주에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만물의 존재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갈 봄 여름 없이: ‘가’의 ‘ㅏ’와 ‘을’의 ‘ㅡ’의 모음 충돌을 없애 ‘가ㄹ’로 발음을 자연스럽게 만든 다음, 입이 닫히지 않은 채 ‘봄’과 연결되어 ‘갈 봄’이 한 음보가 되게 하였다. 이로써 자연스러운 3음보의 율격이 지속되게 된다. 여기서 계절의 순서를 바꾼 것은 운율을 살리기 위해서이다.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저만치’는 ‘꽃’과 시적화자의 거리를 뜻하고, ‘혼자서’는 ‘꽃’과 ‘꽃’ 사이에도 거리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결국 ‘모든 존재는 근원적으로 고독함’을 보여주는 구절로 해석할 수 있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또 다른 존재인 ‘작은 새’는 ‘꽃’을 좋아하지만, 그 꽃이 ‘저만치’ 존재하기에 새 또한 외롭지 않을 수 없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이래서 누구나 외로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작은 새’는 고독한 존재의 모습을 형상화한 소재로 볼 수 있다. ‘우는’은 이러한 사실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이입시켜 표현한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