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소월 가는 길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김소월 가는 길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김소월 가는 길

김소월 가는 길

 

 

김소월 가는 길 해설

김소월 가는 길 해설입니다. 이 시의 의미구조는 1연과 2연의 대립에서 발생합니다.

 

김소월 가는 길 주제

김소월 가는 길 주제 입니다.

김소월 가는 길 의 주제는 가는 자유시입니다. 서정시입니다.
율격은 내재율 3음보.7.5조의 변형입니다.
형태는 불규칙형입니다. 사연 배행입니다
성격은 전통적입니다.민요적입니다
표현은 간결한 구조와 탁월한 언어 구사입니다. 유음, 비음, 모음으로 구성된 시어의 사용을 음악적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구성은요.
●1,2연 그리움의 내면적 갈등입니다
3, 4연 이탈을 재촉하는 외면적인 상황입니다.
제재는 가는 길입니다
주제는 이별의 아쉬움과 그리움입니다. 지나간 추억에 오는 그리움이에요
의의는 우리 민족의 내면에 흐르는 보편적인 정의를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출장은 개벽 1923입니다

 

김소월 가는 길 감상

김소월 가는 길 핵심 정리 입니다. 특징 참고 부탁드립니다.

 

김소월 가는 길 특징

김소월 가는 길 특징 입니다. 

 

1연의 ‘말을 할까’(2행)라는 행동에의 의지는 2연에서 ‘그냥 갈까’(4행)라는 망설임과 머뭇거림으로 위축된다. 저뭇한 풍경 속에 망설임과 머뭇거림이 인상적이다. 어느 쪽도 택하지 못하고, 화자는 행동과 망설임 사이에서 결단의 순간을 자꾸만 지연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도/다시 더 한 번···’(5,6행)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화자는 행동과 망설임 사이에서 지속적인 망설임을 보여 준다.


 그런 망설임은 3연의 ‘서산에 지는 해’라는 삶의 유한적 시간성에 의해 결단을 재촉 당하는 듯하다. 하지만 그것은 망설임의 강화라고 해석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서산에 지는 해는 일몰의 시간, 즉 낮과 밤의 중간에 있는 시간이며, 삶과 죽음, 노동과 휴식이 엇갈리는 경계선상에 있는 시간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시간의 매듭이다. 1연과 2연에서 보여준 망설임은, 이와 같은 시간의 매듭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획득하면서 강화되고 확장된다. 시적 긴장이 최고조에 이른 부분이다.


 망설임과 매듭은 4연에 오면, 강물의 유동성과 연속성 때문에 다시 한 번 두드러져 보인다. 즉 화자는 강물과는 달리, 연달아 흐르지도 못하고, 그립다고 말을 하지도 못하고 그냥 가버리지도 못한다. 마지막 행의 마지막 시어 ‘흐릅디다려’(13행)에서의 종결 어미 ‘려’는 화자의 객관화된 전언의 태도를 보여주어, 자신과 강물을 뚜렷이 분리시킨다.


 결국 이 시는 “가는 길”이라는 제목과는 달리, 한 발도 성큼 내딛지 못하는 화자의 상황을, 망설임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자연물인 강물은 끊임없이 ‘따라오고 따라간다’. 3연의 ‘해’도 서쪽으로 쉬지 않고 움직인다. 그리움, 그리고 그로 인한 망설임은 인간의 한 존재양상으로, 이 시의 주제 의식과 직결된다. 

 

김소월 가는 길 분석

김소월 가는 길 분석 입니다.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 번…

저 산(山)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西山)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 강물, 뒷 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 오라고 따라 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