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해설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해석 해설입니다. 이 시는 우리 나라 전원시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 흙과 더불어 살아가고 싶은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남(南)’이 주는 밝고 건강한 이미지와 함께 시적 화자의 삶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전원에서 안분 지족(安分知足)하는 삶의 태도, 훈훈한 인정, 달관의 모습을 넉넉하게 보여 주고 있다.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주제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제재 : 전원에서의 생활
▶ 주제 : 전원 생활을 통한 달관의 삶. (자연 친화적인 삶의 자세)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줄거리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줄거리 입니다. 

南으로 窓을 내겠소
-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풀을 매지오

구름이 꼬인다* 갈리 있오
새 노래는 공으로 드르랴오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
시집 「망향(望鄕)」(1937년판) 중에서 / * 첫발표 - 󰡔문학󰡕 2호, 1934.2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배경 특징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배경 특징 입니다. 

▶ 성격 : 서정적, 전원적, 자연 친화적, 관조적
▶ 운율 : ‘-소’, ‘-요’, ‘-오’의 반복을 통한 규칙적인 반복
▶ 어조 : 소박하고 겸손하고 친근한 회화조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분석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분석 입니다. 

<연구 문제>
1. 이 시의 화자의 태도와 유사한 고시조 작품 한 수를 외워 쓰라.
☞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하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어내니
나 한 간 달 한 간에 청풍(淸風) 한 간 맡겨 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송  순>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를 예 듣고 이제 보니,
도화(桃花) 뜬 맑은 물에 산영(山影)조차 잠겻셰라.
아희야, 무릉(武陵)이 어디오 나는 옌가 하노라. <조  식>

초암(草庵)이 적료(寂廖)한데 벗 없이 혼자 앉아
평조(平調) 한 닢에 백운이 절로 존다.
어느 뉘 이 죠흔 뜻을 알 리 있다 하리오. <김수장>

2. 이 시에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180자 정도로 설명해 보라.
☞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에 잘 나타나 있듯이 ‘새 노래’는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모든 혜택의 대유적 표현인데, 공으로 듣겠다는 것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가 무상 행위(無償行爲)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원리로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라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에도 발전적으로 적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3. ㉠은 화자의 어떠한 인생관을 나타낸 말인지 4자의 한자 숙어로 쓰라.   ☞ 安分知足

4.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10자 내외로 쓰라.
☞ 초월과 달관의 자세. (삶에 대한 관조와 여유)

<감상의 길잡이>
전원으로 돌아가 자연과 더불어 소박하게 살아가려는 화자의 삶의 자세가 잘 형상화된 작품이다.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싶은 마음은 복잡한 도시 생활에 쫓기며 살아가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일종의 모성 회귀(母性回歸)의 본능과 같은 것이다.


화자는 이 전원 생활 속에서 스스로 만족을 느끼며 어떤 유혹이 있더라도 도시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뜻을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라고 말하고 있다. 땅을 일구고 자연을 벗하며 인정미 넘치는 삶의 여유와 관조가 회화조의 친근한 어조에 용해되어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삶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잔잔한 웃음으로 답하는 모습은 삶에 대한 깊은 성찰에서 우러나오는 초월과 달관의 경지를 함축적으로 보여 주는 시적 표현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