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해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해설입니다. 1919년 <창조>에 발표된 중편 소설. 이 작품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현실의 삶은 힘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며 일반적인 인간은 굴복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마음 속의 ‘약함’을 버리고 자신의 삶을 사랑이라는 ‘강함’을 통해 아름답게 꾸미면 그 어떤 자의 삶이라도 가치 있는 것이 된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주제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주제 입니다.
◎ 주제 : 연약한 봉건적 여성이 겪는 비애와 그 극복 의지
등장 인물
◎ 강 엘리자베스 : 심성이 착하고 순한 고아(孤兒) 처녀. 신교육을 받은 여성. 지위 및 성(性)의 차별에 순종하다가 후에 이것에 대한 탈피 의지를 보임.
◎ K 남작 : 재력과 권력을 가진 인물. 이를 이용하여 사는 전형적인 귀족
◎ 남작 부인 : 이해심 많고 품위 있는 귀부인
◎ 오촌 모 : 봉건적 제도 속에서 살아온 평범한 농민으로 마음이 넓고 친족을 사랑하는 전형적인 한국 여인상(힘에 도전해도 소용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겉으로는 약한 것 같으나 강한 여인상)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감상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핵심 정리 입니다. 조실부모하고 가난한 고아로 자라 K 남작의 집에서 가정 교사를 하던 여학생 강 엘리자베스는 친구 S의 외사촌 오빠이며 H 의숙(義塾)에 다니는 이환을 마음 속으로 짝사랑하지만 용기가 없어 길에서 만나도 표시를 하지 못하던 중, K 남작에게 정조를 잃고 결국 임신을 하게 된다. 이환과 K 남작과의 관계에서 고민하던 그녀는 마음을 단단히 먹고 K 남작에게 임신한 사실을 알리지만 권세와 재력이 있는 그는 이 사실을 시큰둥하게 받아들인다. 그뿐 아니라 부인을 통해서 강 엘리자베스는 쫓겨나게 된다.
갈 곳이 없게 된 그녀는 경성 교외에서 농사를 짓는 오촌 고모의 집에 기거하면서 자신의 처지가 억울하여 K 남작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지만 부와 지위가 있는 남작에게 패소하게 되고, 그 충격으로 아이마저 낙태하게 된다. 낙태된 아이를 쥐고 그 아이에 대한 사랑과 미움이 교차하던 엘리자베스는 약한 자로서의 ‘표본 생활 20년’을 돌이켜 보며 잠이 들게 된다. 다음 날 아침 차디찬 핏덩이를 쥔 엘리자베스는 그 아이에게서 따스한 맛이 느껴지게 되고 ‘사람이란 이런 것이로구나’하고 깨닫게 되자 앞으로의 삶은 '약함'을 가진 자가 아니라 ‘강함’을 가진 자로 살 것을 결심하게 되고 ‘강함’은 참사랑에서 나온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녀는 “그렇다! 내 앞 길의 기초는 이 사랑!”하며 이불을 박차고 벌떡 일어나 앉는다. 그녀 앞에는 넓은 세계가 있었다. 누리에 눌리어 살던 그녀는 지금은 그 위에 올라섰다. 그녀 입에는 온 우주를 쳐 누른 기쁨의 웃음이 떠올랐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특징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특징 입니다.
약함으로 인해 생기는 설움(비극성 또는 비극미)을 통하여 완결된 형식(사랑)을 추구하고 있다. “약한 자의 슬픔”은 1919년 <개벽> 창간호에 발표된 리얼리즘 수법의 최초 단편으로 이광수의 설교조 계몽주의 작품 경향에서 벗어난, 소설 자체의 완결된 미학성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즉, 근대적인 소설의 형식과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문학 자체의 존재 영역을 확보한 작품이다. 이전의 소설들은 특정의 심리 묘사나 성격 창조가 미약하고 객관적 서술 시점이 확보되지 않아 작품 전개에 작가가 끼어 드는 바람에 작품의 미학을 해쳤으나, 이 작품은 소설의 구조적 시점 확보를 통한 새로운 문학 양식을 창출하였기 때문에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로써 한국의 현대 문학은 새로운 전기적 요소가 형성되어 한층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분석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분석 입니다.
◎ 갈래 : 중편 소설
◎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 배경 : 봉건적인 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 전환되는 시대
◎ 경향
(1) 진정한 서구적 자연주의 경향의 문학 확립
(2) 단편 소설의 기반을 본격적으로 확립
(3) 단일한 시점을 확보한 새로운 문학 형식 창출
(4) 문장 혁신(① 과거 시제 사용, ② He, She를 ‘그’로 통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