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 개념 성격 특성 특징 종류 정리 분석
고려 속요 개념 및 성격
고려 속요 개념 :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며 구비 전승된 노래
→ 고려 건국 이후 한문학이 발달하면서 향가가 쇠퇴하자, 국문시가는 구비 전승의 영역으로 돌아갔고, 이로 인해 국문 시가의 자료는 그 편모만 볼 수 있을 뿐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게 되었다. 고려시대 노래 가운데, 경기체가를 제외하고 평민들이 주로 부르던 국문 시가를 흔히 '고려 속요'라고 부르게 되었다. '속요'라는 명칭 외에 '여요', '장가', '고속가(古俗歌)', '별곡(別曲)' 등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고려 속요 성격 및 특성
① 평민문학 :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
② 구비문학 :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문헌에 수록되기까지 구전됨.
③ 조선조에 문헌에 수록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혹은 '음사(淫詞)'라고 하여, 많은 작품이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④ 국문학사적 의의 → 신라시대 향가의 전형적 서정 형식을 이어 받아 우리 고전 시가에서 매우 중요한 시조와 가사를 창출하게 한 교량적 역할을 함. 형식상 특징
고려 속요 일반적 특징
① 분절체(분연체) 형식
② 3.3.2조의 3음보의 운율미
③ 율동감 넘치는 후렴구(여음)
④ 고려 속요는 그 생성과정이나 전승과정면에서 민요와 일치되는 면이 많지만, 한낱 민요로만 볼 수 없는 것은 일반 민요와는 달리 세련된 이미지 형성의 조화나 서정성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단연체 가요 : <정읍사><정과정곡><사모곡><상저가><유구곡> 등
① <정읍사><정과정곡> : 10구체 향가의 잔존 형태
② <상저가><유구곡> : 그 형태가 단연체인지 분연체인지가 분명치 않다. 분절체이면서 그 가운데 제1장만 전해지는 것인지, 원래부터 1장으로만 되어 있는 노래인지가 분명치 않다.
고려 속요 내용상 특징
주로 남녀간의 사랑을 주조로 하면서,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성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또한 체념적인 가운데서도 서정성을 지니고 있는 것도 내용상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중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는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 이별 : 서경별곡, 가시리
♠ 연모, 연군 : 동동
♠ 사친(思親) : 사모곡, 상저가
♠ 남녀 상열 :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 지조 : 정석가
♠ 주술 : 처용가
♠ 無常(방랑) : 청산별곡
고려 속요 수록 문헌
♠ <악학궤범>(1493), <악장가사>(16세기 중엽), <시용향악보>(16세기 초 이전)
→ 이 문헌들은 모두 조선시대 악서류(樂書類)로서, 조선 초기 궁중음악의 법도, 의물(儀物), 악곡, 춤, 가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거나, 그 일부를 간추려 놓은 문헌으로, 그 가운데 고려의 가요를 전하고 있다.
현존 작품
사모곡. 상저가. 동동. 정석가. 청산별곡. 가시리. 서경별곡.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유구곡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