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체 문학 개념 유래 배경 특성 의의 내용 정리
가전체 문학
가전체 문학 개념
가전체 문학(假傳)이란 어떤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하여 그 가계(家系)와 생애 및 개인적 성품, 공과(功過)를 기록하는 전기 형식의 글을 말한다. 실전(實傳)이라 하지 않고 가전이라고 한 것은 '가(假)'가 허구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전체 문학 유래 및 형성 배경
♠ 유래 : 당나라 문인 한유의 <모영전>, 신라시대 설총(8C)의 <화왕계> 등에서 유래된 것으로 봄.
♠ 형성 배경 : 고려 중기 이후 설화를 수집, 정리, 창작하는 과정에서 의인체의 가전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전체 문학의 발달은 무신란 이후에 등장한 사대부들의 의식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객관적 관념론자인 그들이 사물에 대한 관심과 인간 생활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려는 정신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전체 문학 특성 및 의의
♠ 특성
① 계세징인을 목적으로 사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생을 다룬 점.
② 교술갈래적 성격 → 구체적 사물과 경험을 중시하되 그것들을 철저한 이념적 해석으로써 걸러내려 하는 점.
③ 작자층의 한계 → 소수의 사대부 문인들에 의해서만 창작, 향유되는 국한성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 작품이 극히 난삽한 전고(典故)와 소수 문인들끼리의 현학적 기상(奇想)에 많이 의존하였을 뿐 아니라, 현실 체험과 유리된 공성과 고답적 관념을 추구하는 데 골몰하였기 때문이다.
④ 동물 우화와의 관계 → 동물 우화는 동물 간의 사건이 주내용을 이루는 데 비해, 가전은 어떤 사물의 내력, 속성, 가치에 대한 관심이 주가 된다.
♠ 의의
㉠ 설화와 소설의 교량적 구실을 함.
㉡ 창의성이 상당히 가미된 허구적 작품이라는 점에서 소설 문학에 한
단계 접근한 문학 양식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