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을 김현승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6.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가을 김현승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가을 김현승

가을 김현승

 

 

가을 김현승 해설

가을 김현승 해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봄과 가을이 주는 서로 다른 정서, 즉 봄의 화사하고, 화려하고, 뜨겁고, 순간적인 이미지와 가을의 차갑고, 과묵하고, 사려 깊은 이미지를 대비시켜 삶의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또 시인 자신의 내면 세계를 생명의 깊은 곳에 닿고자 하는 자세가 드러나 있다.

 

가을 김현승 주제

가을 김현승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제재 : 가을
▶ 주제 : 가을이 주는 깊이 있고 그윽한 느낌.(정신이 갈구하는 영원한 세계에의 소망)
▶ 시어의 상징 의미
* 제3연 - 생명을 만드는 화려하고 격정적인 봄과 달리 가을은 사색을 통하여 삶의 진리를 깨닫게 해준다.(*보석-충실의 이미지)
* 노래를 고르더니 - 삶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게 하더니
* 언어의 뼈마디 - 삶의 본질

 

가을 김현승 줄거리

가을 김현승 줄거리 입니다. 

가을
  - 김현승 
봄은 
가까운 땅에서
숨결과 같이 일더니,

가을은
머나먼 하늘에서
차가운 물결과 같이 밀려온다.

꽃잎을 이겨
살을 빚던 봄과는 달리,
별을 생각으로 깍고 다듬어
가을은
내 마음의 보석(寶石)을 만든다.

눈동자 먼 봄이라면,
입술을 다문 가을.

봄은 언어 가운데서
네 노래를 고르더니,
가을은 네 노래를 헤치고
내 언어의 뼈마디를
이 ㉠고요한 밤에 고른다.

 

가을 김현승 배경 특징

가을 김현승 배경 특징 입니다. 

▶ 성격 : 대조적, 대비적, 주지적
▶ 어조 : 진정하고 영원한 세계를 갈구하는 자세
▶ 특징 : 관념적, 추상적 시간 의식을 구체화시킴.
▶ 시상 전개
* 형식상의 시상 전개
① 대지에서 솟아오르는 봄의 기운(제1연)
② 푸른 하늘과 함께 오는 가을(제2연)
③ 봄의 화려함과 생각을 일깨워 주는 가을(제3연)
④ 봄의 화사함과 가을의 침묵(제4연)
⑤ 봄의 가벼움과 가을의 사색(제5연)
* 내용상의 시상 전개
① 기(제1연) : 봄의 정서(←땅)   
② 서(제2연) : 가을의 정서(←하늘)
③ 결(제3,4,5연) : 봄과 가을의 정서 대비
(봄-화려․맹목․화사, 가을-사색․묵묵함․명징)

 

가을 김현승 분석

가을 김현승 분석 입니다. 

이 시는 처음부터 끝까지 봄과 가을의 대비를 통해서 시상이 전개되고 있으며, 그것은 대조적 진술의 대비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양하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아름답고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서 추상적인 시간 의식을 구체화함으로써 대비 방식이 지니는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시적 긴장을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


<연구 문제>
1. 이 시에서 ‘봄’과 ‘가을’은 어떻게 대조되고 있는지 한 문장으로 설명하라.
<모범답> 봄이 화려함, 화사함, 뜨거움, 순간적임에 비하여 가을은 과묵함, 차가움, 사색적이다.
2. 이 시에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 즉 가장 본질이 되는 것을 나타낸 시구를 찾아 쓰라.
<모범답> ‘언어의 뼈마디’
3. 이 시는 대조적 의미를 반복함으로써 다소 도식적, 기계적 느낌을 주기는 하나 관념적 추상성에 떨어지지 않도록 수사적인 장치를 마련했다. 그 수사적인 장치에 대해 40자 내외로 설명해 보라.
<모범답>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시간 의식을 구체화하였다.
4. ㉠과 의미가 서로 통하는 세 어절의 말을 찾아 쓰라.
<모범답> ‘입술을 다문 가을’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봄과 가을의 다양한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1연에서 봄을 비유하고 있는 것은 ‘숨결’이다. 숨결은 얼어 붙은 채 잠들어 있는 공간에 따뜻함을 불어넣어 주는 기운을 뜻한다.
제2연의 ‘차가운 물결’은 봄의 ‘숨결’과 대조를 이루는 이미지로서 대지를 다시 엄동 설한의 시간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을 뜻하며, 화자의 지향성이 지상에서 천상으로, 육체에서 정신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제3연은 별의 이미지다. 봄이 꽃으로써 빛날 때라면, 가을은 하늘의 별을 깎고 다듬어 마음에 ‘보석’을 만드는 때이다. 즉, 봄이 육체를 성장시키는 때라면, 가을은 사색 속에 영혼을 성숙시키는 때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4연의 ‘눈동자 먼 봄’이란 봄이 사람들을 지상적이고 육체적인 것에 쉽사리 눈 멀게 한다는 뜻이고, ‘입술을 다문 가을’은 자아 성숙을 위해 스스로 침묵 속에 깃드는 것을 의미한다.
제5연에서 봄이 언어로 불려진 노래라면, 각성의 계절인 가을은 노래에서 골라 낸 ‘언어의 뼈마디’에 해당된다. ‘언어의 뼈마디’는 보석처럼 단단한 사색의 핵심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숨결’, ‘꽃잎’, ‘살’, ‘노래’ 등으로 이미지화된 봄은 공간적으로 ‘땅’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멸을 속성으로 하며, ‘차가운 물결’, ‘별’, ‘보석’ 등으로 이미지화된 가을은 공간적으로 ‘하늘’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원성을 그 속성으로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