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시리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by 문학정보 2022. 10.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가시리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 해석 해설

 가시리 해석 해설입니다.

[현대어 풀이]



[1] 가시겠습니까 가시겠습니까 /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2] 나더러는 어떻게 살라하고 / 버리고 가시렵니까 ?
[3] 붙잡아 두고 싶지만 / 서운하게 생각하시어 아니 오실까 두렵습니다.
[4] 서럽지만 님을 보내오니 / 가시자마자 돌아 오십시오.


가시리   → '가시리잇고'의 생략형(음수율이 고려된 표현)
나난   → 악곡상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삽입된 뜻없는 조음구.
위   → 감탄사. 아!
증즐가   → 의미 없는 여음구. 악기의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로 보기도   함.
잡사와   → 붙잡아. (기본형:잡다)
선하면   → 문헌상 용례가 없어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음(①선뜻   ②서운하면 ③시틋하면, 귀찮아 마음이 거칠어지면④두렵고   겁나면)
올셰라   → 올까 두렵구나. (ㄹ셰라 : 의구형어미)
셜온   → 서러운 (기본형:�f다),이   말의 주체가 표현상으로는 '님'으로 되어 있지만, 의미상으로는   시적 화자가 주체임.

 

 가시리 내용 요약

 가시리 내용 요약 입니다.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로, 간결한 형식과 소박하고 함축성 있는 시어로 애절한 이별의 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서경별곡>과 더불어 이별의 한을 노래한 대표적 작품이다.
이 노래의 이별의 심정은 국문학의 여성적 정조의 원류(源流)를 이루어 왔다. 고구려의 <황조가>로부터 <서경별곡>을 비롯한 고려속요, 황진이의 시조, 민요 <아리랑>, 현대시 김소월의 <진달래꽃> 등 많은 문학 작품 속에 한국 여인의 보편적 정서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시리>는 한 여성의 갸냘픈 애소와 이별의 아쉬움이 평이한 시어를 통하여 잘 형상화되어 있는데,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내보이며 숨겨진 의미의 층이 별로 없는 직서적 진술과 호소를 노래하고 있어 간결, 소박하면서도 가슴을 에는 듯한 감동이 느껴진다. 그리고, 이별을 받아들이는데 있어서도 자기 희생과 감정의 절제를 통해서 재회를 기약하고 있어 은근하고 내면적인 면모를 드러내 주기도 한다. 사랑하는 임을 떠나 보내야 한다는 것은 견딜 수 없는 슬픔이지만, 그 슬픔을 참아 내면서 임을 떠나 보내야만 하는 이별의 정한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한국 여인의 정조이면서 가녀린 듯 끈질기고 굳센 한국인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1] : 기(起) - 애원시적화자를 버리고 떠나려 하는 임에게 그 의사의 진위를 확인하면서, 떠나지 않으면 안되겠느냐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이 숨어 있다.
[2] : 승(承) - 원망의 고조임이 떠나는 사실이 구체화되고, 시적 화자의 고독한 삶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3] : 전(轉) - 어쩔 수 없이 보내는 마음(시적 반전)떠나려는 임과의 갈등과 대립을 피해 시적 화자가 체념하고 양보를 함으로써 갈등의 고조를 차단시키고 있다.
[4] : 결(結) - 간절한 기원
화자가 양보를 했듯이 임도 떠났다가 곧 돌아오기를 간청하면서 화자는 스스로 갈등을 정리하고 있다.

 

 가시리 특징 주제

 가시리 배경 특징 입니다.


[요점정리]

성격 : 고려속요, 서정시, 이별가
형식
* 3/3/2조의 3음보의 운율
*1연이 2구로 이루어진 전4연의 분절체 형식
*각 연에 후렴구 삽입
*기승전결의 완결된 구조
■ 표현
* 소박하고 간결한 시어 및 시형
*반복법 사용
■ 시적 자아 : 떠나는 님에 대해 양보하고 순종하며, 기다림의 고매한 자세를 보여주는 소극적이고  인종(忍從)적인 한국적 여인상
※'서경별곡'의 여인은 가는 임에 대해서 하소연, 다짐, 원망(怨望) 등의 심리적 갈등을 보이고 또 질투심까지 
나타내지만, '가시리'는 그런 감정을 억제하고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는 고매한 인격의 면모를 보여 준다.
'진달래꽃'의 여인은 언제까지나 이별의 슬픔을 인내하겠다는 태도인데 비해 '가시리'의 여인은, 임이 돌아오기를 
끝까지 기다리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임으로써, 결코 절망하지 않는 다는 긍정적(肯定的)인자세를 나타낸다. 
■주제 : 이별의 정한
■의의 : 국문학사에서 이별시의 맥을 잇는 작품, 이별시의 절조
■별칭 : <시용향악보>에는 "귀호곡"이라는 제목으로 제1연만 수록됨.
■출전 : <악장가사>, <악학편고>, <시용향악보>

 가시리 분석

 가시리 분석 입니다. 


[참 고]

◆'예성강곡' 관련 설화
<예성강곡 전편>과 공통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성강곡 전편>도 <가시리>와 마찬가지로 이별의 노래이지만, 남자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것이 여자의 작품으로 볼 수 있는 <가시리>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예성강곡 전편>은 고려시대의 작자, 연대 미상의 가요로 전후 2편으로 된 듯하나, 가사의 내용은 전하지 않고,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그 
유래만 전한다. 
옛날 중국 당(唐)나라의 상인인 하두강(賀頭綱)이라는 자가 바둑을 잘 두었다. 그가 하루는 그들의 왕래가 빈번한 
예성강가에서 한 아름다운 부인을 발견하고 탐나는 마음이 생겼다. 그는 그녀의 남편과 내기 바둑을 두었다. 하두강은 부인을 빼앗을 생각으로 처음에는 짐짓 지는 체하다가, 나중에는 
자기가 또 지면 많은 물건을 주고 이기면 그 아내를 받기로 내기를 걸었다. 남편은 이로운 일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하기로 하였다. 상인은 실력을 다하여 단번에 이기고는 그의 아내를 빼앗았다. 그리고는 그의 아내를 배에 싣고 떠나가 버렸다. 이에 남편은 후회와 한(恨)에 차서는 이 노래를 불렀고 이것이 노래의 전편이다. 
세상에 전해지기는, 그 부인이 떠나갈 때에 몸을 매우 죄어 매서 하두강이 그녀를 건드리지 못했다고 한다. 배가 바다 가운데에 이르자 뱅뱅 돌고 가지 않으므로 점을 쳤더니 지조가 굳은 여인에게 감동이 되었으니 그 여인을 돌려 보내지 않으면 배가 파선되리라 하였다. 그래서 뱃사공들이 두려워하며 하두강에게 이를 고하자 하두강은 그녀를 돌려 보내 주었다고 한다. 그녀가 또한 노래를 불렀는데, 이것이 후편이다.
이 설화에서 남편이 아내를 상인에게 빼앗긴 후 지어 부른 노래가 '가시리'라는 설이 있다. 즉 '가시리'는 '예성강곡' 전편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예성강곡'은 배경 설화만 전해질 뿐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고려사」악지
◆'가시리'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
「악장가사」에서는 '가시리'라고만 하며 전문을 소개하고, 「시용향악보」에서는 '귀호곡'이라고도 일컫고 한 대목만 내어놓았다. 이 노래는 길이를 본다면 짧은 노래에 속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장을 나누는 표시가 분명하게 보일 뿐 아니라, 장과 장 사이에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서경별곡'이나 '청산별곡'과 다름이 없다. 
보내고 싶지 않은 임을 보내야 하는 심정을 소박하게 나타내기만 했으니, 너무 감탄한 나머지 지나친 평가를 할 것은 아니고, 수준 높게 다듬은 표현이 없다고 해서 낮추어 볼 필요도 없다. 어느 대목이든 쉽게 이해되지만, 나타난 말이 얼마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숨은 사연을 생각하게 한다. 서러운 님을 보내니 가는 듯이 돌아오라고 한 대목은 두 가지 뜻을 가질 수 있다. 노래하는 여자를 서럽게 하는 님에게 하소연하는 말이기도 하고, 무언가 드러나 있지 않은 곡절 때문에 서럽게 떠나야 하는 님이기에 그렇게 당부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 어느 쪽이거나 이런 노래는 원래 민요였으리라고 생각되고, 후대의 아리랑과 상통하는 사연을 지녔다 하겠다. 그런데 그 곡조가 들을 만한 것이었음인지 궁중 속악으로 채택되었고, 거기 따르는 변모도 겪었겠다. '나난'이라는 말이 노래 한 줄이 끝날 때마다 붙는 것은 민요 자체에서 유래했을지 모른다. 그렇다면 자기를 버리고 간다는 사정을 강조하자는 말이다. 하지만, 태평성대를 들먹이는 여음은 사설이 나타내는 것과 반대가 되는 느낌을 준다. 궁중 속악은 태평성대의 즐거움을 구가하는 노래라야 어울리기에, 사설은 바꾸어 놓지 않았어도 여음은 그런 분위기에 맞도록 갖추었을 수 있다.
-조동일,「한국문학통사 2」
 

[ 교과서 학습활동 ]



1. 이 노래의 율격과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노래에서 여음(餘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정리해 보고, 이를 소리내어 낭송해 보자.
→ 가시리 √ 가시리 √ 잇고 / 버리고 √ 가시리 √ 잇고
날러는 √ 엇디 √ 살라 하고 / 바리고 √ 가시리 √ 잇고
잡사와 √ 두어리 √ 마나난 / 선하면 √ 아니 √ 올셰라
셜온 님 √ 보내옵 √ 나니 / 가시는 듯 √ 도셔 √ 오쇼셔.

(2) 민요 '아리랑'을 불러 보고, 이 노래의 율격과 비교해 보자.
→ 민요 '아리랑'도 '가시리'와 마찬가지로 3음보로 이루어져 있다.

(3) 이 노래의 후렴구가 주는 인상은 작품의 분위기와 이질적이다. 이 노래의 전승 과정과 관련하여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 '가시리'는 원래 평민들의 노래였던 것이 궁중악으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 궁중 음악으로 노래가 개편되면서 노래 가사는 많이 변개되지 않았으나 후렴구가 궁중의 문화에 맞게 변개되었다. 따라서 후렴구는 작품 분위기와는 다른 이질적인 면을 보인다.

2. 이 노래의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이 작품의 서정적 자아는 누구이며,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가?
→ 서정적 자아는 임을 떠나 보내는 여성이다. 이 여성은 사랑하는 임을 떠나 보내야 한다는 슬픔에 괴로워하면서도, 그 슬픔을 참아 내면서 임을 떠나 보내고 있다.

(2) 어떤 심적 갈등을 겪고 있는가?
→ 임을 보내는 서정적 자아는 떠나가는 임을 원망하여 잡아 두고 싶은 마음이 있는 한편, 임이 붙잡는 자신을 서운하게 생각하고 다시 오지 않을까봐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다. 두 마음이 갈등하며 결국 서정적 자아는 임을 고이 떠나 보낸다.

(3)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 임을 떠나 보내는 처지의 시적 화자는 사랑하는 임을 붙잡고 싶지만 혹시 임이 그런 자신의 모습에 서운함을 느끼고 다시 자신을 찾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결국 임을 보낸다. 그렇게 이별의 슬픔을 가슴 깊이 묻고 임을 보내야 하는 정한이 이 시의 주제라고 할 수 있다. 

3. 다음 작품들은 임과의 이별을 다룬 노래들이다. 정서의 표출 방법, 이별을 대하는 태도 면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여 모둠별로 발표해 보자.
유리왕의 '황조가', 고려 속요 '서경별곡', 김소월의 '진달래꽃'
* 유리왕의 '황조가' → 이별을 당한 화자의 심리가 황조라는 대상에 대조됨으로써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외로운 나 : 정다운 꾀꼬리'의 짝을 통해 님의 부재가 한층 뚜렷한 실감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누구와 함께 돌아갈 것인가'하는 자탄에서 떠난 님과의 재회를 갈망하는 심정이 직접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 고려 속요 '서경별곡' → 화자는 처음에는 이제 막 자신을 떠나는 임을 따라가서라도 이별의 상황을 피해 보고자 애를 썼으나, 이내 그것이 불가능함을 알고 사라의 지속을 믿음으로써 자기 위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 위안의 모색은 심지어 이별의 원인을 제3자인 시공에게 전가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 김소월의 '진달래꽃' → 이별이라는 상황을 가상적으로 설정하고 떠나는 임을 화자 자신이 고이 보내드린다고 하였다. 이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역설적이라 할 수 있다. 이별이라는 상화은 가상 상황이라는 것은 적어도 당분간은 이별이 없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 것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역설이 발견되고, '고이 보내 드린다'는 진술이 실제로는 그럴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역설이 발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진달래꽃'의 화자는 임과의 이별을 체험했거나 체험하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오히려 달콤하고 황홀한 사랑에 빠져 있는 사람으로 볼 수도 있다. 



유리왕의 '황조가', 고려 속요 '서경별곡', 김소월의 '진달래꽃'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