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2.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해설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해석 해설입니다.  이 “가슴속에……”는 한 소년의 시각과 관점 그리고 추억을 통해서 포착한 40년대 말의 습속(習俗)을 그린 장편 역사 소설로서, 문장이 섬세하고 환정적이며 누추한 현실을 리얼하게 다루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주제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 복잡한 사회․정치 현실 속의 개인적 삶의 애환과 사회적 의미 

등장 인물
◎ 태룡 아버지 : 가난한 생활을 꾸려 나가는 가장
◎ 허 노인 : 침쟁이. 한독당 당원으로 백범의 노선을 숭상한다. 
◎ 채 목사 : 목사. 허 노인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
◎ 정갑두 : ‘샘터’ 마을의 반장. 이승만 노선을 신봉하며 권력 지향적인 인물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줄거리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줄거리 입니다. 

이 작품은 넓게는 한국, 좁게는 서울 그리고 그 가운데서도 변두리의 꼭대기에 자리 잡은 ‘샘터’라는 빈민촌의 각별한 생활 현실을 그리고 있다. 옛 절터에 23세대가 북적대며 살고 있는 이 빈민촌은 취학기의 소년 태룡의 눈을 통해서 비쳐지고 있다. 태룡의 집안은 월남 가족이다. 그들은 청운동에 있는 셋집에서 괴팍스러운 과수댁에 쫓겨나다시피 하여 이 곳으로 이사해 온 것이다. 흉가라는 소문이 나 있는 납골당 자리를 방으로 쓰고 있는 태룡 네는 어머니의 와병으로 가뜩이나 구차스런 살림에 더욱 심난함을 맛본다. 작가 박태순은 마을의 분위기를 치밀하고도 환정적인 필치로 보여 준 뒤, 세 사람의 미혼 이모가 얹혀 사는 태룡 네 집안의 뒤숭숭한 양상을 실감나게 보여 준다. 새로 이사온 태룡 네를 찾아오는 주민들은 어느 모로는 정치적 분열과 혼란을 구현하는 인물들이다. 내객 중에는 우선 허 노인이라는 침쟁이가 있다. 그는 보수도 바라지 않고 환자가 있는 집을 찾아다니며 약도 지어 주고 침도 놓아준다. 

 

그는 태룡이 아버지에게 자신이 한독당 당원임을 실토하면서 백범 김구 노선이 가장 소망스러운 것이라는 소신을 밝히며 함께 찾아가 보자고 권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이렇다 할 직업도 없어 보이는 그의 젊은 아들은 몽양 여운형 노선을 따르는 몽양 숭배자이다. 이 허 노인과 대결을 벌이게 되는 상대역으로 채 목사가 있다. 대개의 종교인이 그렇듯이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 노선을 드러내 보이지는 않으나, 허 노인의 민족주의와는 필연적으로 충돌하는 입장이다. 한편, 반장 일을 맡고 있는 정갑두는 이승만 노선을 따르면서 대동 청년단 입단을 권유하고 다닌다. 그는 권력 있는 곳에서 항상 발견되는 그런 현실주의자이다. 그런가 하면 남로당의 삐라를 살포하는 채소 장수 용식 어머니의 여동생이 있다. 국민학교 교원인 그녀는 별 정치 의식도 없이 동료의 권유에 따라 교원 조직에 가입한 탓으로 퇴직 당하고 남로당 활동에 동조하게 된다. 뿌리 없는 월남민이면서 정치적 활동이나 견해보다도 우선 살 길이 다급한 지식인 형(型)의 태룡 아버지를 중심으로 이러한 각양 각색의 인물들이 그 모습들을 드러냄으로써 이 작품의 정치 사회사적 맥락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들의 성격은 허 노인과 채 목사 사이의 충돌과 용식 어머니의 여동생 소행으로 드러난 총선거 반대 삐라 살포 사건이라는 두 개의 큰 사건을 매개로 해서 분명히 드러난다. 어쨌든 허 노인도 떠나고 용식 어머니조차 용의자로 불려 가고 채 목사도 떠나가 버린 ‘샘터’ 마을은 정갑두만이 남아서 통솔하게 되는데, 이는 이름을 되찾고 취학하게 되는 태룡이라는 새 세대의 출현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배경 특징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배경 특징 입니다. 

불행한 시대의 불행을 뜨겁게 포옹하여 시의 정서로 승화시킨 김소월의 시에서 따온 이 “가슴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이란 표제에서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듯이, 이 작품은 범상한 세태 묘사로 그치지 않고 한 시대의 상징적 축도로서 한 세대의 삶의 회한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성공적인 모든 역사 소설이 그렇듯이 이 작품 또한 오늘날 우리의 현실에 대한 묵시적 비판이 되어 주고 있다. 주창만 씨를 따라 집을 나갔던 세 이모들이 영영 생사를 알지 못하는 터가 되었다는 끄트머리의 삽화에서도 상투적인 이산 가족의 슬픔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한 시대의 상흔이 개인사 속에 어떠한 흔적을 남기는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분석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분석 입니다. 

◎ 갈래 : 장편 역사 소설 
◎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 배경 : 시간(해방 후(1940년대 말)) / 공간(빈민 마을인 ‘샘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