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영낭자전
월영낭자전 해설
월영낭자전의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적강소설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 전반부에서는 혼례장애형 사건을 설정하고 후반부에서는 여러 처첩 중에 악인이 있어 선인을 모해하는 쟁총형 사건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전반부는 남녀 간의 이별과 결합이 주요 내용이고, 후반부는 희선과 혼인한 월영이 잠시 행복한 생활을 누리며 정부인의 시기와 음습으로 갈등을 겪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전반에서 월경이 겪은 고난은 후반 들어 한층 강화됩니다. 월경이 심한 옥고를 겪은 후 황제의 명에 의해 생명이 위태로워지는 것이 이를 보여줍니다. 달그림자의 죽음이 임박했을 때 천상선관이 황제 앞에 나타나 달그림자가 누명을 썼음을 낱낱이 밝혀냅니다. 반면 정 여사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고 달그림자는 만고의 절부라고 칭송됩니다. 이를 통해 여성의 정절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는데 결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필사본은 주인공과 화목해지는 것으로 끝나지만 활자본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선관선녀가 이끌고 승천하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월영낭자전 주제
월영낭자전의 주제는 혼례장애 극복과 권선징악입니다.
월영낭자전 줄거리 요약
월영낭자전 줄거리 요약 입니다. 중국 송나라 때 소주 땅에 최현이라는 이부시랑이 늦어져 아들 희선을 얻고 친구 호원의 딸 월영과 약혼시킵니다. 허원이 간신의 모해로 죽자 부인도 자결합니다. 소주 자사 의현이 월영을 재취업으로 맞이하려 하자 월영은 핍박을 피해 자살한 것으로 위장해 남장을 한 채 대피합니다. 이 과정에서 월영은 절강에 사는 경오사의 부인을 만나 양녀가 됩니다. 반면 월영이 죽었다고 생각한 희선은 과거 원장급제를 시행하고 민상서의 딸과 혼인을 합니다.
희선은 어느 날 졸다가 천상으로 올라가 상제로부터 유진성인 자신과 옥진성인 월영이 인연이 있음을 알게 되고 꿈에서 깬 뒤 천상에서 자신의 청삼에 묶인 홍상 자락이 그대로 있음을 발견합니다. 달그림자도 선녀의 인도로 천상에 가서 유진성을 만나고 자신의 홍상에 묶인 청삼 자락을 발견합니다. 희선은 존댓말사의 집에 머물게 되는데 우연히 월영을 만나 부부의 연을 맺게 됩니다. 이후 희선은 국구 정한의 압력으로 그의 사위가 되지만 정한의 딸 정씨는 오만한 인물로 월경을 질투합니다. 정씨의 모략으로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힌 월영은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는데 처형당하려 할 때 천상에서 선관이 내려와 월영이 옥진성임을 알립니다. 정 씨는 비참한 최후를 맞아 나머지 가족들은 화목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월영낭자전 특징
월영낭자전의 특징은 주로 대화를 통해 사건이 전개됩니다.천상의 존재가 지상으로 내려오는 적강 모티브를 활용합니다. 여주인공이 어릴 때 약혼한 남자 주인공과의 이별과 만남을 거치면서 겪는 고난을 그림입니다. 꿈을 활용해 한림과 소저 두 사람이 부부의 연을 맺게 됨을 암시합니다. 혼례 장애 구조와 여러 처첩의 쟁총형 사건을 결합시킵니다.
월영낭자전 분석
월영낭자전 분석에서는 호씨효도록 최현전 등의 별명이 있습니다. 조선후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일부다처혼 생활이 가져다주는 가정비극을 그린 소설입니다. 남자 주인공 최희선은 허월연과 약혼한 사이였지만 허월연이 재난을 당해 실종된 상황에서 민씨와 결혼하고 허씨와 재회해 허씨를 둘째 딸로 영입합니다. 최희선은 또한 황명으로 정씨를 셋째 아내로 맞아들이지만 정씨는 악독한 행동으로 월영을 몰아내게 됩니다.
여러 명의 아내를 둔 가정에서 한 남자의 총애를 둘러싼 갈등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데, 이 작품은 이러한 갈등을 그린 쟁총형 가정소설에 해당합니다. 또 월영낭자전은 조선시대의 한글 소설입니다.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 호월영이 어린 시절 약혼한 남자 주인공과의 이별과 만남을 거치며 겪는 고난의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가정소설의 범주에 속합니다. 남녀 주인공이 천상계 인물이며, 이는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적강소설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 전반부에서는 혼례장애형 사건을 설정하고 후반부에서는 여러 처첩 중에 악인이 있어 선인을 모해하는 쟁총형 사건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전반부는 남녀 간 이별이 주요 내용이고, 후반부는 희선과 혼인한 월영이 잠시 행복한 생활을 누리며 정부인의 시기와 음습한 해로 갈등을 겪었던 고난은 후반부에 이르러 한층 강화됩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치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
달팽이각시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조신몽 설화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9 |
장익성전 해설 주제의 줄거리 요약 의미 특징 분석 (0) | 2022.08.19 |
효녀 지은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댓글